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코딩
- 미국유학
- 여험
- 식별연산자
- 미국일상
- 이재명 아들
- 불법성범죄물
- 이루는 방법
- 원하는걸
- 파이썬 비트연산자
- Coding
- 파이썬 자료형 튜플
- 프로그래밍독학
- 파이썬독학
- 미국운전
- Python
- 생명과학2
- 멤버십연산자
- 오미크론
- 파이썬
- programming
- 코로나 변이
- 2022수능
- n번방방지법
- 미국낙태권
- 프로그래밍
- 코딩독학
- 정답효력정지
- 미국빅맥
- 확진자 증가
- Today
- Total
Jay의 자취들
#6 파이썬 리스트 공부하기 본문
안녕하세요 재이입니다.
오늘은 리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리스트 만들기
리스트란 숫자 혹은 문자열을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.
리스트 사용:
리스트명=[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 ]
리스트의 요소에는 숫자, '문자열', [리스트]가 있습니다.
a=[1, 2 , 3], b=['안녕', '하', '세요'], c=['a', 'b', 'd', ['e', 'f']]
2.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
인덱싱
a=[1, 2, 3, 4]라는 리스트가 있을 때, 첫 번째 요소는 a[0], 두 번째 요소는 a[1], 세 번째 요소는 a[2], 네 번째 요소는 a[3]를 사용해 인덱싱하면 됩니다.이때 마지막 요소는 a[-1]로도 인덱싱 할 수 있습니다.
요소에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을 때 그 리스트 안의 요소는 어떻게 인덱싱 할까요a=[1, 2, ['b', 'c']]라는 리스트에서 c를 인덱싱하려면['b', 'c']는 리스트 a의 3번째 요소이고 이 리스트 안의 2번째 요소이므로a[2][1]이렇게 하면 됩니다.
슬라이싱
슬라이싱은 나눈다는 뜻입니다.
리스트 인덱싱 할 때 보셨던 것 처럼 범위는 0부터 시작됩니다.
만약 a=[1, 2, 3, 4, 5]라는 리스트가 있습니다.a[0:3]이면
이기때문에
[1, 2, 3]으로 나옵니다.
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있는 경우를 살펴봅시다.
a=[1, 2, 3, [10, 20, 30], 4]인 리스트가 있습니다
여기서 [10, 20]만 뽑고싶으면 a[3][0:2]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.
앞의 3은 4번째 요소인[10,20,30]을 뽑고 뒤의 [0:2]는 4번째 요소에서 슬라이싱을 하는 것입니다.
시작값 또는 끝값을 생략하면 알아서 해당 문자열의 시작과 끝을 설정합니다
3. 리스트 연산하기
리스트 연산에는 +랑 *이 있습니다.
a=[1,2,3]
b=[4,5,6]
a+b=[1,2,3,4,5,6]
a*3=[1,2,3,1,2,3,1,2,3]
*리스트 길이구하려면 len()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.
len(a+b) → 6
4. 리스트 수정과 삭제
수정은 수정할 자리를 인덱싱하고 수정할 값을 할당해줍니다.
a=[1,2,3]
a[0]=5 / 0번째 자리에 새로운 5 값 할당해줌
→ a=[5,2,3]
삭제는 del함수를 사용해줍니다.
a=[1,2,3,4,5,6,7,8,9,10]
del a[:3]
→ a=[4,5,6,7,8,9,10]
5. 리스트 관련 함수들
a=[1,3,2,1], b=[5,6]
함수 | 설명 | 예시 |
append | append(x),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x를 추가 | a.append(4) → a=[1,2,3,1,4] |
sort | sort(),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 | a.sort() → a=[1,1,2,3] |
reverse | reverse(),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줌 | a.reverse() → a[1,3,2,1] |
index | index(x), 리스트에 x 값이 있으면 x의 위치 값을 돌려줌 | a.index(3) → 1 |
insert | insert(a, b), 리스트의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 | a.insert(2,9) → a=[1,3,9,2,1] |
remove | remove(x),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 | a.remove(1) → a=[3,2,1] |
pop | pop(x), 리스트의 x번째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 삭제 | a.pop(0) → 1 → a=[3.2,1] |
count | count(x),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 개수 세기 | a.count(1) → 2 |
extend | extend(x), 원래의 리스트에 x 리스트를 더함. x 무조건 리스트여야함 | a.extend(b) → a=[1,3,2,1,5,6] |
오늘은 파이썬 자료형 중 리스트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.
그럼 안녕!
p.s.
같이 공부하는 6코딩9은프로그래밍 초보에서부터 고수까지 가는 여정을 담을 거예요. 아직은 초보입니다?
차근차근 꾸준히 하다 보면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 실력이 생기겠죠?
그럼 고수 재이를 볼 그날까지..
화이팅!
'같이 공부하는 6코딩9 > 6파이썬9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7 파이썬 튜플 공부하기 (3) | 2021.12.23 |
---|---|
#5 파이썬 문자열 공부하기 (5) | 2021.12.10 |
#4-3 파이썬 논리, 멤버십, 식별 연산자 공부하기 (9) | 2021.12.08 |
#4-2 파이썬 비트연산자, 2의 보수 공부하기 (6) | 2021.12.06 |
#4-1 파이썬 연산자(산술, 비교,할당 연산자) (5) | 2021.12.03 |